한 (전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韓)은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공족 한만(韓萬)을 시조로 하는 전국 시대의 국가이다. 한나라는 춘추 시대 말기에 위(魏), 조(趙)와 함께 진(晉)나라를 분할하여 건국되었으며, 기원전 403년 주나라로부터 제후로 인정받아 전국 시대의 일원으로 자리 잡았다. 한비, 장량, 정국 등의 인물이 한나라와 관련된 주요 인물로 언급된다. 기원전 230년 진(秦)나라에 멸망하며, 6국 중 가장 먼저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나라 (전국 시대) - 한비자
한비자는 전국시대 말기 법가 사상가이자 『한비자』의 저자로, 법, 술, 세를 핵심으로 하는 통치 이론을 제시하며 법치주의와 효율적인 통치 시스템을 주장하고 군주를 위한 통치술과 정치 전략을 제시하는 동시에 당시 다른 사상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 한나라 (전국 시대) - 한신 (회음후)
한신은 전한 초기의 군인이자 전략가로, 초한쟁란 시기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공헌했으나, 유방의 경계로 회음후로 강등된 후 모반 혐의로 여후에게 처형당했으며, 그의 삶은 토사구팽, 다다익선 등 고사성어와 관련되어 후대에 다양한 평가를 받는다. - 중국사 - 순치
순치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 명나라 멸망 후 베이징 천도와 함께 사용되어 1661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당시 다양한 세력의 연호와 병존했다. - 중국사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한 (전국) | |
---|---|
기본 정보 | |
![]() | |
통칭 | 한(韓) |
옛 표기 | *Gar |
국가 유형 | 제후국 → 왕국 |
존속 기간 |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30년 |
수도 | 양채 (기원전 375년 이전) 신정 (기원전 375년 이후) |
종교 | 중국 민간 신앙 조상 숭배 |
통화 | 포전 기타 고대 중국 화폐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군주 | 후작 → 왕 |
재상 | 재상 |
역사 | |
주요 사건 | 진나라 분할 |
멸망 | 진에 정복됨 |
이전 | 진(晉) |
이후 | 진나라 |
기타 | |
주나라 제후국 | 국명: 한(韓) 성씨: 희성(姬姓) 한씨 작위: 후작 |
위치 | 1. 양채 (허난성위저우시) 2. 신정 (허난성 신정시) |
분봉자 | 위열왕 |
시조 | 경후 |
건국 년도 | 기원전 403년 |
멸망 년도 | 기원전 230년 |
멸망 원인 | 진나라에 의한 멸망 (한나라 정복) |
역사 기록 | 사기 (권45 한세가) |
2. 역사
한나라 왕실의 조상은 춘추 시대 진나라(晉)의 공족이며, 진 목후(晉穆侯)의 아들인 환숙(桓叔)의 아들뻘이 되는 한만(韓萬)이 한원(韓原)이라는 지역에 봉해진 것을 기원으로 하였다. 기원전 620년 한만의 고손자 한궐(韓厥)이 사마로 등용되었고, 뛰어난 군략을 보였다. 기원전 573년 한궐은 정경(正卿)과 중군을 이끄는 장수가 되었다. 기원전 541년 그의 아들 한기(韓起)도 정경이 되면서, 정치를 관장하는 대신인 육경(六卿)이 되었다.
춘추 시대 말기, 한호(韓虎)는 조씨, 위씨(魏氏) 일족 등과 함께 육경 중 강력한 가문인 지씨(知氏) 일족을 기원전 453년에 멸망시켰다. 후에 위씨, 조씨와 함께 진나라의 영토를 분할하여 독립하였다. 기원전 403년 주나라로부터 정식 제후로 인정받아 전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기원전 375년 정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켰으나, 전국 칠웅 중 최약체로 항상 서쪽 진(秦)의 침공에 시달렸다. 그러나 신불해(申不害)를 재상으로 발탁한 한 희후(韓喜侯)의 치세에는 국내가 안정되어 전성기를 맞았다. 이어서 즉위한 한 선혜왕은 기원전 323년 왕으로 자칭하였으나, 신불해 사후 다시 진나라의 침공에 시달렸다.
한나라의 쇠퇴를 우려한 공자 한비(韓非)는 국력 강화 방법을 담은 한비자(韓非子)를 저술하였다. 그러나 한비의 주장은 모국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진왕 영정(嬴政)이 한비자에 관심을 보였다. 한나라는 정국(鄭國)을 진나라에 보내 관개 사업을 통해 진나라 국력을 소모시키려 하였으나 발각되었다. 이 공사로 만들어진 수로는 정국거(鄭國渠)로 불리며 중국 고대 3대 수로 중 하나가 되었고, 결과적으로 진나라를 풍요롭게 하였다.
기원전 230년 수도 신정이 함락되어 한나라는 6국 중 가장 먼저 멸망하였고, 영토는 영천군이라는 진나라의 행정구역이 되었다. 기원전 226년 옛 수도 신정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고, 한왕 안(韓王安)은 처형되었다.
2. 1. 건국
한나라 왕실의 조상은 춘추 시대 진나라(晉)의 공족이며, 진 목후(晉穆侯)의 아들인 환숙(桓叔)의 아들뻘이 되는 한만(韓萬)이 한원(韓原)이라는 지역에 봉해졌던 것을 기원으로 하여 시작되었다. 희성(姫姓)을 가졌던 한무자(韓武子) 한만의 일가들이 한씨(韓氏)를 칭하였고, 성씨와 땅이름에서 따와서 지칭되었다. 한원 지역에는 원래 주나라 선왕 때 분봉된 희성 제후 한후(韓侯)가 있었다. 이 한나라는 50여 년 동안 존속했다가 진(晉)에게 멸망했고, 바로 그 지역을 영지로 받은 것이 한만이다.기원전 620년 한만의 고손자 한궐이 사마로 등용되었고, 뛰어난 군략과 과거에 신세를 졌던 조씨 일족의 재부흥에 헌신하여 기원전 573년 정경(正卿)과 중군을 이끄는 장수가 되었다. 기원전 541년 그의 아들 한기도 정경이 되면서, 정치를 관장하는 대신인 육경(六卿)이 되었다.
춘추 시대 말기, 한호는 조씨, 위씨 등과 함께 육경 중 하나인 지씨를 기원전 453년에 멸망시키고, 위, 조와 함께 진의 영토를 분할하여 독립했다. 기원전 403년에 주나라 왕실로부터 정식으로 제후로 인정받아 전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2. 2. 전국 시대
한나라 왕실의 조상은 춘추 시대 진(晉)의 공족이며, 진 목후(晉穆侯)의 아들인 환숙(桓叔)의 아들뻘이 되는 한만(韓萬)이 한원(韓原)이라는 지역에 봉해진 것을 기원으로 하였다. 기원전 620년 한만의 고손자 한궐(韓厥)이 사마로 등용되었고, 기원전 573년 한궐은 정경(正卿)과 중군을 이끄는 장수가 되었다. 기원전 541년 그의 아들 한기(韓起)도 정경이 되면서 정치 일선에 나섰다. 춘추 시대 말기, 한호(韓虎)는 조씨, 위씨(魏氏) 일족 등과 함께 육경 중 강력한 가문인 지씨(知氏) 일족을 기원전 453년에 멸망시켰다. 후에 위씨, 조씨와 함께 진나라의 영토를 분할하여 독립하였고, 기원전 403년 주나라로부터 정식 제후로 인정받아 전국 시대가 시작되었다.[2]기원전 375년 정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켰으나, 전국 칠웅 중 최약체로 항상 서쪽 진(秦)의 침공에 시달렸다. 그러나 신불해(申不害)를 재상으로 발탁한 한 희후(韓喜侯)의 치세에는 국내가 안정되어 전성기를 맞았다. 이어서 즉위한 한 선혜왕은 기원전 323년 왕으로 자칭하였으나, 신불해 사후 다시 진나라의 침공에 시달렸다.[7][8]
한나라의 쇠퇴를 우려한 공자 한비(韓非)는 국력 강화 방법을 담은 한비자(韓非子)를 저술하였다. 그러나 한비의 주장은 모국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진왕 영정(嬴政)이 한비자에 관심을 보였다. 한나라는 정국(鄭國)을 진나라에 보내 관개 사업을 통해 진나라 국력을 소모시키려 하였으나 발각되었다. 이 공사로 만들어진 수로는 정국거(鄭國渠)로 불리며 중국 고대 3대 수로 중 하나가 되었고, 결과적으로 진나라를 풍요롭게 하였다.
기원전 230년 수도 신정이 함락되어 한나라는 6국 중 가장 먼저 멸망하였고, 영토는 영천군이라는 진나라의 행정구역이 되었다. 기원전 226년 옛 수도 신정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고, 한왕 안(韓王安)은 처형되었다.
초한 전쟁 시기, 장량은 한나라 왕족 출신인 한왕 성, 한왕 신을 옹립했다.
2. 3. 멸망
기원전 375년 정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켰지만, 전국 칠웅 중 가장 약한 나라였고, 항상 서쪽의 진나라의 침공에 시달렸다.[7][8] 그러나 신불해(? - 기원전 337년)를 재상으로 발탁한 희후의 치세에는 국내가 안정되어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한 선혜왕은 기원전 323년에 왕으로 자칭하였으나, 재상 신불해가 죽은 후에는 다시 진나라의 침공에 시달렸다.한나라의 멸망을 우려했던 공자 한비는 나라를 강하게 만드는 방법을 한비자에 저술하였다. 그러나 한비의 주장은 모국인 한나라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진왕 영정이 한비자에 관심을 가졌다. 한나라는 이를 역이용해 정국(鄭國)이라는 사람을 진나라에 보내 관개 사업을 하도록 하여 진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키려 하였으나 발각되었다. 이 공사로 만들어진 수로는 후에 정국거로 불리며 중국 고대 3대 수로 시설 중 하나가 되었다. 이는 역설적이게도 진나라를 풍요롭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기원전 230년 수도 신정이 함락되었고, 6국 중 가장 먼저 멸망하였다. 한나라의 영토는 영천군이라는 새로운 진나라의 행정구역이 되었다. 기원전 226년 한나라 옛 수도인 신정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고, 한나라의 마지막 군주인 한왕 안은 처형되었다.
3. 역대 군주
다음은 한(전국)의 역대 군주 목록이다.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관계 |
---|---|---|---|---|
1 | 무자(武子) | 만(萬) | ? | 곡옥 환숙의 아들 |
2 | 구백(賕伯) | ? | ? | 무자의 아들 |
3 | 정백(定伯) | 간(簡) | ? ~ 기원전 645년 이후 | 구백의 아들 |
4 | 여(輿) | ? | 정백의 아들 | |
5 | 헌자(獻子) | 궐(厥) | ? ~ 기원전 564년 이후 | 자여의 아들 |
6 | 선자(宣子) | 기(起) | ? ~ 기원전 514년 | 헌자의 아들 |
7 | 정자(貞子) | 수(須) | 기원전 513년 ~ ? | 선자의 아들 |
8 | 간자(簡子) | 불신(不信), 불녕(不佞) | ? ~ 기원전 479년 이후 | 정자의 아들 |
9 | 장자(莊子) | 경(庚) | ? | 간자의 아들 |
10 | 강자(康子) | 호(虎) | ? ~ 기원전 425년 | 장자의 아들 |
11 | 무자(武子) | 계장(啓章) | 기원전 424년 ~ 기원전 409년 | 강자의 아들 |
1 | 경후(景侯) | 건(虔) | 기원전 408년 ~ 기원전 400년 | 한 무자의 아들 |
2 | 열후(烈侯) | 취(取) | 기원전 399년 ~ 기원전 387년 | 경후의 아들 |
3 | 문후(文侯) | 유(猷) | 기원전 386년 ~ 기원전 377년 | 열후의 아들 |
4 | 애후(哀侯) | 둔몽(屯蒙) | 기원전 376년 ~ 기원전 374년 | 문후의 아들 |
5 | 의후(懿侯) | 약산(若山) | 기원전 374년 ~ 기원전 363년 | 애후의 아들 |
6 | 소후(昭侯) | 무(武) | 기원전 362년 ~ 기원전 333년 | 의후의 아들 |
7 | 선혜왕(宣惠王) | 강(康) | 기원전 332년 ~ 기원전 312년 | 소후의 아들 |
8 | 양왕(襄王) | 창(倉) | 기원전 311년 ~ 기원전 296년 | 선혜왕의 아들 |
9 | 이왕(釐王) | 구(咎) | 기원전 295년 ~ 기원전 273년 | 양왕의 아들 |
10 | 환혜왕(桓惠王) | 연(然) | 기원전 272년 ~ 기원전 239년 | 이왕의 아들 |
11 | 안(安) | 기원전 238년 ~ 기원전 230년 | 환혜왕의 아들 |
3. 1. 삼진 분립 이전 (진나라 신하)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관계 |
---|---|---|---|---|
1 | 무자 | 만(萬) | ? | 곡옥 환숙의 아들 |
2 | 구백 | ? | ? | 무자의 아들 |
3 | 정백 | 간(簡) | ? ~ 기원전 645년 이후 | 구백의 아들 |
4 | 여 | ? | 정백의 아들 | |
5 | 헌자 | 궐(厥) | ? ~ 기원전 564년 이후 | 자여의 아들 |
6 | 선자 | 기(起) | ? ~ 기원전 514년 | 헌자의 아들 |
7 | 정자 | 수(須) | 기원전 513년 ~ ? | 선자의 아들 |
8 | 간자 | 불신(不信), 불녕(不佞) | ? ~ 기원전 479년 이후 | 정자의 아들 |
9 | 장자 | 경(庚) | ? | 간자의 아들 |
10 | 강자 | 호(虎) | ? ~ 기원전 425년 | 장자의 아들 |
11 | 무자 | 계장(啓章) | 기원전 424년 ~ 기원전 409년 | 강자의 아들 |
사기 제45권에 따르면, 한 왕족은 진나라 왕족의 방계였다. 한 씨족의 시조 한무자는 진 무공의 삼촌이었다.
한 씨족의 구성원들은 진나라의 재상이 되었고, 한위안(오늘날 산시성의 한청)을 하사받았다. 한 씨의 조상은 춘추 시대 진의 공족이며, 목후의 아들 환숙의 서자 한만(한무자)이 한원(韓原)의 땅(현재의 산시성 한청시)에 봉해진 것을 기원으로 한다. 희(姬)성을 성으로 하는 한무자의 일족이 한 씨를 칭하게 된 것은 이 영지명에서 유래한다.
다만, 이 이전에도 동명의 "한"이라는 나라(주 왕조 계통, 한 (서주) 참조)가 있었으며, 이 또한 한원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기원전 620년, 한만의 현손인 한궐이 사마로 등용되었으며, 그의 뛰어난 군략과, 과거에 신세를 졌던 조씨의 재흥에 헌신한 것으로 여망을 모아, 기원전 573년에 한궐이 정경·중군으로 임명되면서 한씨는 힘을 얻기 시작했다. 더욱이 기원전 541년에 그의 아들 한기 또한 정경이 되면서, 한씨는 정치를 담당하는 대신의 육가(육경) 중 하나가 되었다.
3. 2. 삼진 분립 이후 (한나라 군주)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관계 |
---|---|---|---|---|
1 | 경후[13] | 건(虔) | 기원전 408년 ~ 기원전 400년 | 한 무자의 아들 |
2 | 열후[14] | 취(取) | 기원전 399년 ~ 기원전 387년 | 경후의 아들 |
3 | 문후 | 유(猷) | 기원전 386년 ~ 기원전 377년 | 열후의 아들 |
4 | 애후 | 둔몽(屯蒙) | 기원전 376년 ~ 기원전 374년 | 문후의 아들 |
5 | 의후[15] | 약산(若山) | 기원전 374년 ~ 기원전 363년 | 애후의 아들 |
6 | 소후 | 무(武) | 기원전 362년 ~ 기원전 333년 | 의후의 아들 |
7 | 선혜왕 | 강(康) | 기원전 332년 ~ 기원전 312년 | 소후의 아들 |
8 | 양왕 | 창(倉) | 기원전 311년 ~ 기원전 296년 | 선혜왕의 아들 |
9 | 이왕 | 구(咎) | 기원전 295년 ~ 기원전 273년 | 양왕의 아들 |
10 | 환혜왕 | 연(然) | 기원전 272년 ~ 기원전 239년 | 이왕의 아들 |
11 | 안 | 기원전 238년 ~ 기원전 230년 | 환혜왕의 아들 |
4. 문화와 사회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기 전, 각 지역은 고유한 관습과 문화를 가지고 있었지만, 상류층은 주로 공통된 문화를 공유하며 지배했다. 기원전 4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서경의 일부인 ''우공''(禹貢)에서는 각기 독특한 민족과 생산물을 가진 아홉 개의 지역으로 나뉜 중국을 묘사한다. 이 부분의 핵심 주제는 우 임금의 여행과 각 지역의 독특한 물품을 수도에 조공으로 보내는 것을 통해 이 아홉 지역이 하나의 국가로 통일된다는 것이다. 다른 텍스트에서도 이러한 문화 및 물리적 환경의 지역적 변이에 대해 논의했다.[5]
이러한 텍스트 중 하나는 위나라 무후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쓰인 전국 시대 군사 논문인 ''오자''(吳子)였다. 저자인 오기는 정부와 백성의 성격이 그들이 거주하는 물리적 환경 및 영토와 연결되어 있다고 선언했다.[5]
5. 주요 인물
- 한비: 법가 철학자로, 나라를 강하게 만드는 방법을 담은 책인 한비자를 저술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모국인 한나라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진나라의 시황제에 의해 실행되어 한나라를 멸망시키는 힘이 되었다.
- 장량: 초기 한나라의 주요 인물로, 한나라 재상 가문 출신이다. 고국 한나라가 멸망한 것에 대한 원한으로 진 시황제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초한 전쟁 시기에 한왕 성, 한왕 신을 옹립했다.
- 정국: 진나라를 위해 정국거를 설계한 수리 기술자이다. 한나라는 정국을 진나라에 보내 관개 사업을 하게 하여 진나라의 국력을 소모시키려 했으나, 이 계획은 발각되었다. 정국거는 중국 고대 3대 수리 시설 중 하나가 되었고, 결과적으로 진나라를 풍요롭게 했다.
6. 천문학
한(漢)은 "12개 주(十二州)" 별자리의 별 35 Capricorni[10]로 표현되며, 이는 처녀궁 28수 중 일부이자 현무 사상의 일부이다. 한(漢)은 또한 "우벽(右壁)" 별자리의 별 제타 뱀주인자리로 표현되는데, 이는 천시원의 일부이다.[11]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
서적
Han Feizi: Basic Writing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3]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A Reference guide
Brill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5]
서적
The Early Chinese Empires: Qin and Han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6]
서적
An Introduction to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pringer
[7]
서적
Shen Pu-hai
University of Chicago
1974
[8]
서적
Early China
Cambridge University
2013
[9]
서적
Han Feizi, the Man and the Work
1992
[10]
웹사이트
Capricornus the Sea Goat
http://www.ianridpat[...]
2023-08-05
[11]
웹사이트
zh:中國古代的星象系統 (55): 天市右垣、車肆
http://aeea.nmns.edu[...]
2006-06-24
[12]
문서
代は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13]
문서
죽서기년, 세본(世本)
[14]
문서
세본(世本)
[15]
문서
죽서기년(竹書紀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